티스토리 뷰
문제 설명

당신은 일렬로 나열된 n개의 집에 택배를 배달하려 합니다. 배달할 물건은 모두 크기가 같은 재활용 택배 상자에 담아 배달하며, 배달을 다니면서 빈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수거하려 합니다.
배달할 택배들은 모두 재활용 택배 상자에 담겨서 물류창고에 보관되어 있고, i번째 집은 물류창고에서 거리 i만큼 떨어져 있습니다. 또한 i번째 집은 j번째 집과 거리 j - i만큼 떨어져 있습니다. (1 ≤ i ≤ j ≤ n)
트럭에는 재활용 택배 상자를 최대 cap개 실을 수 있습니다. 트럭은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실어 물류창고에서 출발해 각 집에 배달하면서, 빈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수거해 물류창고에 내립니다. 각 집마다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와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알고 있을 때, 트럭 하나로 모든 배달과 수거를 마치고 물류창고까지 돌아올 수 있는 최소 이동 거리를 구하려 합니다. 각 집에 배달 및 수거할 때, 원하는 개수만큼 택배를 배달 및 수거할 수 있습니다.
다음은 cap=4 일 때, 최소 거리로 이동하면서 5개의 집에 배달 및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입니다.
배달 및 수거할 재활용 택배 상자 개수
| 집 #1 | 집 #2 | 집 #3 | 집 #4 | 집 #5 | |
| 배달 | 1개 | 0개 | 3개 | 1개 | 2개 |
| 수거 | 0개 | 3개 | 0개 | 4개 | 0개 |
배달 및 수거 과정
| 집 #1 | 집 #2 | 집 #3 | 집 #4 | 집 #5 | 설명 |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3 | 3/0 | 1/4 | 2/0 | 물류창고에서 택배 3개를 트럭에 실어 출발합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3 | 3/0 | 0/4 | 0/0 | 물류창고에서 5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5) 4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, 5번째 집에 택배 2개를 배달합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3 | 3/0 | 0/0 | 0/0 | 5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5) 4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4개를 수거한 후,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리고 택배 4개를 트럭에 싣습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0/0 | 0/3 | 0/0 | 0/0 | 0/0 | 물류창고에서 3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3) 1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, 3번째 집에 택배 3개를 배달합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0/0 | 0/0 | 0/0 | 0/0 | 0/0 | 3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3) 2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3개를 수거한 후,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립니다. |
16(=5+5+3+3)의 거리를 이동하면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쳤습니다. 같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다른 방법이 있지만, 이보다 짧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방법은 없습니다.
트럭에 실을 수 있는 재활용 택배 상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cap, 배달할 집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, 각 집에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deliveries와 각 집에서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picku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때, 트럭 하나로 모든 배달과 수거를 마치고 물류창고까지 돌아올 수 있는 최소 이동 거리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제한사항
- 1 ≤ cap ≤ 50
- 1 ≤ n ≤ 100,000
- deliveries의 길이 = pickups의 길이 = n
- deliveries[i]는 i+1번째 집에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.
- pickups[i]는 i+1번째 집에서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.
- 0 ≤ deliveries의 원소 ≤ 50
- 0 ≤ pickups의 원소 ≤ 50
- 트럭의 초기 위치는 물류창고입니다.
입출력 예
| cap | n | deliveries | pickups | sresult |
| 4 | 5 | [1, 0, 3, 1, 2] | [0, 3, 0, 4, 0] | 16 |
| 2 | 7 | [1, 0, 2, 0, 1, 0, 2] | [0, 2, 0, 1, 0, 2, 0] | 30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문제 예시와 동일합니다.
입출력 예 #2
배달 및 수거할 재활용 택배 상자 개수
| 집 #1 | 집 #2 | 집 #3 | 집 #4 | 집 #5 | 집 #6 | 집 #7 | |
| 배달 | 1개 | 0개 | 2개 | 0개 | 1개 | 0개 | 2개 |
| 수거 | 0개 | 2개 | 0개 | 1개 | 0개 | 2개 | 0개 |
배달 및 수거 과정
| 집 #1 | 집 #2 | 집 #3 | 집 #4 | 집 #5 | 집 #6 | 집 #7 | 설명 |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2 | 2/0 | 0/1 | 1/0 | 0/2 | 2/0 | 물류창고에서 택배 2개를 트럭에 실어 출발합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2 | 2/0 | 0/1 | 1/0 | 0/2 | 0/0 | 물류창고에서 7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7) 7번째 집에 택배 2개를 배달합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2 | 2/0 | 0/1 | 1/0 | 0/0 | 0/0 | 7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7) 6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2개를 수거한 후,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리고 택배 2개를 트럭에 싣습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2 | 1/0 | 0/1 | 0/0 | 0/0 | 0/0 | 물류창고에서 5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5) 3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, 5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합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1/0 | 0/1 | 1/0 | 0/0 | 0/0 | 0/0 | 0/0 | 5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5) 4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1개를 수거하고 2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1개를 수거한 후,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리고 택배 2개를 트럭에 싣습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0/0 | 0/1 | 0/0 | 0/0 | 0/0 | 0/0 | 0/0 | 물류창고에서 3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3) 1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, 3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합니다. |
| 남은 배달/수거 | 0/0 | 0/0 | 0/0 | 0/0 | 0/0 | 0/0 | 0/0 | 3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(거리 3) 2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1개를 수거한 후,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립니다. |
30(=7+7+5+5+3+3)의 거리를 이동하면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쳤습니다. 같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다른 방법이 있지만, 이보다 짧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방법은 없습니다.
따라서, 30을 return 하면 됩니다.
풀이
def solution(cap, n, deliveries, pickups):
answer = 0
while deliveries or pickups: # 배달할 것 또는 수거할 것이 남아있는 동안
# 가장 먼 곳에 배달할 게 없으면 삭제
while deliveries and deliveries[-1] == 0:
del deliveries[-1]
# 가장 먼 곳에 수거할 게 없으면 삭제
while pickups and pickups[-1] == 0:
del pickups[-1]
# 가장 먼 곳 한 번 갔다 오기
answer += 2 * max(len(deliveries), len(pickups))
# 먼 곳부터 배달 시작
del_box = cap
for idx in reversed(range(len(deliveries))):
# 배달해야 할 상자 수가 수용량보다 많으면
if del_box < deliveries[idx]:
deliveries[idx] -= del_box
break
else:
del_box -= deliveries[idx]
deliveries[idx] = 0
# 먼 곳부터 수거 시작
pic_box = cap
for idx in reversed(range(len(pickups))):
# 수거해야 할 상자 수가 수용량보다 많으면
if pic_box < pickups[idx]:
pickups[idx] -= pic_box
break
else:
pic_box -= pickups[idx]
pickups[idx] = 0
return answer'개발자를 위한 한 걸음 > 코딩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가장 큰 증가 부분 수열 - 백준 #11055,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(1) | 2023.01.26 |
|---|---|
| 이모티콘 할인행사 - 프로그래머스 lv.2 (0) | 2023.01.22 |
| 문자열 교환 - 백준 #1522, 브루트포스 알고리즘/슬라이딩 윈도우 (0) | 2023.01.22 |
| 잃어버린 괄호 - 백준 #1541, 수학/문자열/그리디 알고리즘/파싱 (0) | 2023.01.19 |
| 거북이 - 백준 #8911, 구현/시뮬레이션 (1) | 2023.01.19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프로그래머스
- lv.3
- 코딩테스트
- 카카오 코딩테스트
- 정렬
- 너비 우선 탐색
- 코딩 테스트
- 실버2
- 그래프 이론
- 리트코드
- 카카오
- 백준
- 문자열
- 코드트리
- 실버3
- 그래프 탐색
- 릿코드
- 그리디 알고리즘
- 브루트포스 알고리즘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Simulation
- 골드5
- 구현
- 시뮬레이션
- 백트래킹
- 수학
- Python
- leetcode
- lv.2
- 깊이 우선 탐색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|||
| 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