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문제 설명
[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.]
당신은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기 위해 공부하려고 합니다. 코딩 테스트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과 코드를 구현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.
알고리즘에 대한 지식은 알고력, 코드를 구현하는 능력은 코딩력이라고 표현합니다. 알고력과 코딩력은 0 이상의 정수로 표현됩니다.
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문제가 요구하는 일정 이상의 알고력과 코딩력이 필요합니다.
예를 들어, 당신의 현재 알고력이 15, 코딩력이 10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- A라는 문제가 알고력 10, 코딩력 10을 요구한다면 A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.
- B라는 문제가 알고력 10, 코딩력 20을 요구한다면 코딩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B 문제를 풀 수 없습니다.
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여야 합니다. 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이기 위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.
- 알고력을 높이기 위해 알고리즘 공부를 합니다. 알고력 1을 높이기 위해서 1의 시간이 필요합니다.
- 코딩력을 높이기 위해 코딩 공부를 합니다. 코딩력 1을 높이기 위해서 1의 시간이 필요합니다.
- 현재 풀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를 풀어 알고력과 코딩력을 높입니다. 각 문제마다 문제를 풀면 올라가는 알고력과 코딩력이 정해져 있습니다.
- 문제를 하나 푸는 데는 문제가 요구하는 시간이 필요하며 같은 문제를 여러 번 푸는 것이 가능합니다.
당신은 주어진 모든 문제들을 풀 수 있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얻는 최단시간을 구하려 합니다.
초기의 알고력과 코딩력을 담은 정수 alp와 cop, 문제의 정보를 담은 2차원 정수 배열 problems가 매개변수로 주어졌을 때, 모든 문제들을 풀 수 있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얻는 최단시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모든 문제들을 1번 이상씩 풀 필요는 없습니다. 입출력 예 설명을 참고해주세요.
제한사항
- 초기의 알고력을 나타내는 alp와 초기의 코딩력을 나타내는 cop가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- 0 ≤ alp,cop ≤ 150
- 1 ≤ problems의 길이 ≤ 100
- problems의 원소는 [alp_req, cop_req, alp_rwd, cop_rwd, cost]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alp_req는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알고력입니다.
- 0 ≤ alp_req ≤ 150
- cop_req는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코딩력입니다.
- 0 ≤ cop_req ≤ 150
- alp_rwd는 문제를 풀었을 때 증가하는 알고력입니다.
- 0 ≤ alp_rwd ≤ 30
- cop_rwd는 문제를 풀었을 때 증가하는 코딩력입니다.
- 0 ≤ cop_rwd ≤ 30
- cost는 문제를 푸는데 드는 시간입니다.
- 1 ≤ cost ≤ 100
정확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사항
- 0 ≤ alp,cop ≤ 20
- 1 ≤ problems의 길이 ≤ 6
- 0 ≤ alp_req,cop_req ≤ 20
- 0 ≤ alp_rwd,cop_rwd ≤ 5
- 1 ≤ cost ≤ 10
효율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사항
- 주어진 조건 외 추가 제한사항 없습니다.
입출력 예
alp | cop | problems | result |
10 | 10 | [[10,15,2,1,2],[20,20,3,3,4]] | 15 |
0 | 0 | [[0,0,2,1,2],[4,5,3,1,2],[4,11,4,0,2],[10,4,0,4,2]] | 13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코딩력 5를 늘립니다. 알고력 10, 코딩력 15가 되며 시간이 5만큼 소요됩니다.
- 1번 문제를 5번 풉니다. 알고력 20, 코딩력 20이 되며 시간이 10만큼 소요됩니다. 15의 시간을 소요하여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.
입출력 예 #2
- 1번 문제를 2번 풉니다. 알고력 4, 코딩력 2가 되며 시간이 4만큼 소요됩니다.
- 코딩력 3을 늘립니다. 알고력 4, 코딩력 5가 되며 시간이 3만큼 소요됩니다.
- 2번 문제를 2번 풉니다. 알고력 10, 코딩력 7이 되며 시간이 4만큼 소요됩니다.
- 4번 문제를 1번 풉니다. 알고력 10, 코딩력 11이 되며 시간이 2만큼 소요됩니다. 13의 시간을 소요하여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알고력과 코딩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.
제한시간 안내
- 정확성 테스트 : 10초
- 효율성 테스트 : 언어별로 작성된 정답 코드의 실행 시간의 적정 배수
풀이
dp[x][y]: 알고력(alp),코딩력(cop)이 x,y 수치만큼 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
-> dp[alp][cop] = 0: 처음 주어진 알고력, 코딩력이 되기 위한 시간은 0
-> dp[alp+1][cop] = 1
-> dp[max(alp_req)][max(cop_req)]
def solution(alp, cop, problems):
problems.append([0,0,1,0,1]) # 알고리즘 공부
problems.append([0,0,0,1,1]) # 코딩 공부
# 목표 알고력, 코딩력
alp_max, cop_max = max([i[0] for i in problems]), max([i[1] for i in problems])
alp_tgt, cop_tgt = max(alp_max, alp), max(cop_max, cop)
if alp >= alp_tgt and cop >= cop_tgt:
return 0
#걸린 시간을 담는 배열
dp = [[float('inf') for _ in range(cop_tgt+1)] for _ in range(alp_tgt+1)]
dp[alp][cop] = 0
for al in range(alp, alp_tgt+1):
for co in range(cop, cop_tgt+1):
for alp_req, cop_req, alp_rwd, cop_rwd, cost in problems:
# 풀 수 없는 경우
if al < alp_req or co < cop_req:
continue
nal, nco = min(al+alp_rwd, alp_tgt), min(co+cop_rwd, cop_tgt)
dp[nal][nco] = min(dp[nal][nco], dp[al][co]+cost)
return dp[alp_tgt][cop_tgt]
'개발자를 위한 한 걸음 > 코딩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기한 소수 - 백준 #2023, 수학/정수론/백트래킹/소수 판정 (0) | 2023.02.18 |
---|---|
아기 상어2 - 백준 #17086, 그래프/브루트포스 알고리즘/너비 우선 탐색 (0) | 2023.02.18 |
표 병합 - 프로그래머스 lv.3, 구현 (0) | 2023.02.18 |
바닥 장식 - 백준 #1388, 구현/그래프/bfs/dfs (0) | 2023.02.12 |
미로 탈출 명령어 - 프로그래머스 lv.3, dfs (0) | 2023.02.09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구현
- Python
- 릿코드
- 골드5
- 실버3
- 브루트포스 알고리즘
- 시뮬레이션
- 코딩테스트
- 코딩 테스트
- 리트코드
- 실버2
- leetcode
- 카카오 코딩테스트
- lv.2
- 문자열
- 수학
- lv.3
- 그래프 이론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그리디 알고리즘
- 백트래킹
- 백준
- 정렬
- 카카오
- 그래프 탐색
- Simulation
- 코드트리
- 깊이 우선 탐색
- 프로그래머스
- 너비 우선 탐색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