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. <그림 1>과 같이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를 얻게 된다.

예를 들어 <그림 2>와 같이 시작점에서부터 첫 번째, 두 번째, 네 번째, 여섯 번째 계단을 밟아 도착점에 도달하면 총 점수는 10 + 20 + 25 + 20 = 75점이 된다.

계단 오르는 데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다.
- 계단은 한 번에 한 계단씩 또는 두 계단씩 오를 수 있다. 즉, 한 계단을 밟으면서 이어서 다음 계단이나, 다음 다음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.
- 연속된 세 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 된다. 단, 시작점은 계단에 포함되지 않는다.
- 마지막 도착 계단은 반드시 밟아야 한다.
따라서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두 번째 계단이나, 세 번째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. 하지만,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네 번째 계단으로 올라가거나, 첫 번째, 두 번째, 세 번째 계단을 연속해서 모두 밟을 수는 없다.
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질 때 이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입력의 첫째 줄에 계단의 개수가 주어진다.
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제일 아래에 놓인 계단부터 순서대로 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진다. 계단의 개수는 300이하의 자연수이고,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는 10,000이하의 자연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계단 오르기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
6
10
20
15
25
10
20
예제 출력 1
75
풀이
n = int(input())
s = [int(input()) for _ in range(n)]
dp = [0]*(n)
if len(s) <= 2: # 계단이 2칸 이하인 경우
print(sum(s))
else: # 계단이 3칸 이상인 경우
dp[0] = s[0]
dp[1] = s[0] + s[1]
for i in range(2,n): # 마지막 계단을 밟는 경우 2가지
dp[i] = max(dp[i-3]+s[i-1]+s[i], dp[i-2]+s[i])
print(dp[-1])
'개발자를 위한 한 걸음 > 코딩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들의 합 - 백준 #1789, 수학/그리디 알고리즘 (0) | 2022.11.15 |
---|---|
치킨 배달 - 백준 #15686, 구현/브루트포스/백트래킹 (0) | 2022.11.14 |
강의실 배정 - 백준 #11000, 자료구조/그리디 알고리즘/정렬/우선순위 큐 (0) | 2022.11.09 |
유기농 배추 - 백준 #1012, 그래프/너비 우선 탐색/깊이 우선 탐색 (0) | 2022.11.09 |
체스판 다시 칠하기 - 백준 #1018, 브루트포스 (1) | 2022.11.08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imulation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카카오
- 문자열
- 코딩 테스트
- lv.2
- 코딩테스트
- 구현
- 릿코드
- 카카오 코딩테스트
- 깊이 우선 탐색
- 골드5
- 리트코드
- 시뮬레이션
- lv.3
- Python
- 프로그래머스
- 브루트포스 알고리즘
- 너비 우선 탐색
- 백트래킹
- leetcode
- 그래프 이론
- 그리디 알고리즘
- 실버3
- 백준
- 정렬
- 수학
- 그래프 탐색
- 실버2
- 코드트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